[6주차-1] 토스 UX 컨셉
[5주차-1] 그룹과제 1주차 완료
4주차부터 그룹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그룹 프로젝트의 큰 흐름은 팀원들과 함께 유저 리서치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최종적으로 개선사항을 도출하는 것이었다.4주차에는 리서
cy79.tistory.com
그룹 프로젝트로 '토스' 유저 리서치를 계속 진행중이다.
현재 그룹 프로젝트는 3주차를 맞이했다.
1주차에는 토스가 어떤 서비스인지와 어떤 불편사항이 있는지 설문조사를 진행했고
2주차에는 1주차의 자료를 바탕으로 퍼소나와 사용자 여정지도를 만들고 벤치마킹 서비스 조사를 진행했다.
이번 3주차에서는 UX 컨셉 리서치 및 User Flow, Flow Chart를 만드는 것이 주된 내용이었다.
토스의 UX 컨셉 리서치 한 자료들을 공유해볼까 한다.
UX 컨셉이란?
먼저 UX 컨셉이 정확히 무엇을 이야기하는 것인지 정의를 해야 했다.
UX 컨셉은 쉽게 말해서 '방향성'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위의 글에 따르면 쇼핑몰 앱에 대해서 "초개인화된 감각적 디자인의 쇼핑비서"라는 한 문장으로 UX 컨셉을 정의하였다.
우리 팀은 위의 글을 참고해서 '토스의 UX 컨셉을 한 문장으로 정의'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UX 리서치를 진행했다.
1. 토스 자체 UX 라이팅 원칙
토스에서 자체적으로 UX 라이팅 원칙을 만들어놓은 것을 찾을 수 있었다.
https://toss.tech/article/8-writing-principles-of-toss
토스의 8가지 라이팅 원칙들
토스의 문구는 8가지 라이팅 원칙을 고려하면서 쓰고 있어요. 사람이 말하는 것 같은 문장을 지향하면서요.
toss.tech
토스의 UX 라이팅 코어밸류와 프린시플을 실제 화면의 예시와 함께 설명하고 있다.
실제 토스 앱에서의 어투와 똑같이 해요체를 사용하여 작성했다.
2. 검색을 통한 토스 UX 전략 조사
토스에서 자체적으로 만든 UX 원칙에 더해, 검색을 통해 UX 전략을 조사해보았다.
https://brunch.co.kr/@figmaster/8
토스 디자이너들의 프로덕트 원칙
토스 지원시 미리 알아두면 좋을 | 토스의 제품을 만드는 원칙을 Product principle = PP 라고 하는데요, 토스의 위대한도전 책을 보고 프러덕트 원칙과 그에 맞는 화면들을 스터디해 보았습니다. 프로
brunch.co.kr
https://maily.so/eddy/posts/78c6ef2d
🎒 토스의 제품 원칙, 제품 전략 그리고 UX 원칙
여러분의 조직의 원칙은 무엇인가요? 원칙으로 논의하며 원칙에 따라 의사결정이 이뤄지나요?
maily.so
위의 두 글은 「유난한 도전」이라는 도서에서 발췌해서 작성되었다고 한다.
(시간 날 때 한 번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https://brunch.co.kr/@mobiinside/4997
토스에서 찾아본 10가지 UX 법칙
주니어 기획자들을 위한 실전서 | 사용자 경험에 ‘미친’ 조직은 뭐가 다를까 존 야블론스키의 저서 ≪UX/UI의 10가지 심리학 법칙≫에서 소개하는 UX 법칙을 토스 앱에서 찾아보았습니다. 들어
brunch.co.kr
위 글은 존 아블로스키가 저술한 「UX/UI의 10가지 심리학 법칙」에 근거하여 토스의 UX 법칙을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은 예전에 읽은 적이 있어서 그 기억을 복기해서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누구나 편리한 토스 UI·UX 개발 이야기 - DIGITAL iNSIGHT 디지털 인사이트
슬래시 23으로 본 토스의 모바일 접근성
ditoday.com
위 글은 토스의 '큰 글씨 모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시각적으로 불편을 겪는 사람들을 위해 글씨를 키우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디자인의 디테일까지 수정했다고 한다.
3. 토스의 UX 컨셉 정의
UX 리서치를 통해 우리 팀은 토스의 UX 컨셉을 한 문장으로 정의할 수 있었다.
누구나 쓸 수 있는 접근성 높은 금융 서비스
UX 컨셉을 한 문장으로 정의하기가 쉽지 않았지만 핵심 내용을 보여주자면 위와 같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은 토스가 어떤 서비스인지 자료조사 했을 때의 내용과 일맥상통하다.
이러한 UX 컨셉은 이후 진행될 개선사항 디자인의 길라잡이가 될 수 있을 것이다.